Oracle

게시글 보기
작성자 유건데이타 등록일 2015-05-16
제목 OPS & STANDBY DB & H/W VENDOR에서 제공하는 HA S/W 비교
OPS & STANDBY DB & H/W VENDOR에서 제공하는 HA S/W 비교
=====================================================

Explanation
-----------

1. OPS (Oracle Parallel Server)

1) 개요
다수의 loosely coupled (clustering system :shared disk ) 또는 MPP
system(shared nothing system)들간의 원활한 resource sharing을 위해 제공되는
dlm(distributed lock manager)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어떤 node를
통하던지 한 database를 access함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성과 전체적인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2) 장점
a. High Avilability
하나의 node에 장애가 발생할경우 , 다른 node에서 해당 업무를 계속할
수 있다. 단,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Take-Over에 대한 사항도 고려되어져
야 한다.
b. High Performance
적절하게 애플리케이션을 분산할 경우 병렬 프로세싱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수 있다.
c. Scalability
업무량의 증가에 따른 확장성이 좋다. (OPS node추가)
d. H/W의 효용가치가 높다.
모든 node에서 동일 시점에 db service가능

3) 단점
a. 구축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b. node장애시 업무의 계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Take-Over에 대한 사
항이 고려되어져야 하므로 application partitioning이 반드시 필요하다.
c. node의 system 장애에 대해서는 업무의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나, disk의
물리적이 장애시 일반적인 복구작업을 수행해야한다. 이때의 down time
은 물리적인 disk의 복구, 백업주기 및 관리에 좌우된다.

2. Standby DB

1) 개요
orcle7.3 부터 추가된 사항으로 db장애시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primary db
의 backup(standby db)본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일정 시점에 양쪽 db instance는 구동되어 있으나 user application은 primary
db(production db)에서만 access가능하며 장애 발생시에 primary db의 복사본
인 standby db가 primary db(production db)로open되어 운영되게 되는 방식이
다.
archive log mode에서 구성됨이 기본으로 archive log file이 적용된 정도에
따라 recovery time이 다르다

2)장점
a. 현 시스템과 가장 비숫한 복사본을 유지하므로 시스템 장애발생시 신속
한 복구가 가능하다
b.시스템장애시(primary disk corruption등)에도 standby db를 open하여 업무
의 지속성을 보장할수 있다.

3)단점
a. standby db구축을 위해서 사양이 같은 시스템이 한대 더 필요하며
(bul:11517참고)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primary db만 access하므로
standby db에 대한 효용가치는 떨어진다.
b.primary db의 복사본을 유지하기 위해선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즉, standby db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dba의 부담이 증가한다.

3. H/W vendor에서 제공하는 HA(High Availablity) S/W

1) 개요
각 server는 oracle을 구동시키기 위한 환경변수만을 갖고 database에 관련
된 file( oracle s/w, datafile, redo log file, controlfile , parameter
file등)들은 shared
disk에 저장된다. 일정시점에서 하나의 node에서만 db service를 제공한다
db 가 구동된 server1의 장애가 발생하면 h/w verdor에서 제공하는 take-
over s/w는 즉시 server의 ip를 change하고 shared disk를 server2에서 사
용할수 있도록 switching시킨후 mount시킨다. Server2에서 db instance를
재구동시킨후 사용한다.

2) 장점
a. Take-Over에 대한 개발자의 부담을 줄여준다.
b. 일반적인 single node의 oracle rdbms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application
partitioning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c. 현재의 oracle license만 있으면 구축이 가능하므로 구축비용이 저렴하
다.(db측면만 보면)
d. 관리가 용이하다

3) 단점
a. 일정시점에서 하나의 instance만을 사용하므로 H/W의 효용가치는 떨어
진다.
b. system장애시 db를 대기중인 server에서 재구동 시켜야 하므로 약간의
down time은 감수하여야 한다.
c. shared disk의 물리적인 장애시 ops로 구촉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일반
적인 복구 방법은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down time은 길어질수도 있
다.
Comment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