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게시글 보기
작성자 유건데이타 등록일 2015-05-16
제목 ORACLE 8 INSTALL GUIDE
ORACLE 8 INSTALL GUIDE
======================

Explanation
-----------
1. Pre-Installation

1) System Installation Requirements (Hardware Requirements )
Memory : minimum of 32 MB ( ConText Cartridge를 사용한다면 128 MB )
이것은 install이 가능한 minimum 값일 뿐이다.
64M이상으로 하되 업무 성격에 따라 128M 이상이 필요하다.
Swap Space : 일반적으로 ram 의 2~3배
Disk Space : minimum of 500 MB

2) Operating System Software Requirements : OS 별로 oracle8 install 가능한
version을 check한다.
HP-UX는 10.20 이상, Solaris 2.5.x 이상, AIX는 4.1 이상, Sequent는 4.4
이상, Unixware는 v7.0 이상, NT는 4.0이 필요하다.

3) Oracle install을 위해서는 C Compiler가 꼭 필요하다.
install 시 relink option을 NO로 한다고 해도 default로 rdbms kernal을
compile하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4) UNIX Kernel Parameters : Oracle Server의 SGA(system global area)를
수용할 수 있게끔 적절한 공유 메모리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DB가 기동될 수 없다.(solaris 기준 os kernel parameter)

SHMMAX 8388608 (SGA size보다 크게 한다.)
SHMMIN 1
SHMMNI 100
SHMSEG 10
SEMMNS 200
SEMMNI 100
SEMMSL 100 (processes 값보다 크게 한다.)
위의 값들은install을 위한 최소 값들이며 db size 및 업무 성격, 사용자 수에
따라 조정을 해야 한다.


2. Installation Tasks

1) mount point 생성
root user로 oracle s/w및 db create를 위한 mount point를 생성한다.
Oracle8에서 defaul로 4개의 mount point를 필요로한다. Oracle s/w install을
위한 mount point 1개와 db create시 datafile분산을 위한 mount point 3개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하나의 mount point로 install도 가능하다.
Login : root
# mkdir /oracle

2) root user로 database administrator를 위한 DBA group과 oracle s/w를
설치할 계정을 생성한다.
groupadd, useradd를 이용하거나 unix utility들을 이용한다.
HP 경우는 sam, SUN은 admintool, AIX는 smitty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3) oracle user로 switching하여 oracle user의 환경 변수를 설정한다.
다음은 oracle user의 shell을 korn shell이나 born shell로 설정했을 때의 예이다.
즉, .profile에 기술되는 내용이다. (만일 c shell을 쓴다면 .cshrc에 syntax
에 맞게 기술한다)

ORACLE_SID=ORA8 ; export ORACLE_SID
ORACLE_HOME=/oracle/app/oracle/product/8.0.5; export ORACLE_HOME
PATH=$PATH:$ORACLE_HOME/bin ; export PATH
ORACLE_TERM=vt100 ; export ORACLE_TERM

# install만을 위해서는 위의 4개만 설정해도 가능하다.
# 하지만 운영을 위해서는 아래의 나머지 모두 필요하며 NLS_LANG은 install
# 시에 설정하지 않는다. Segment Fault : Core dump 에러가 날 수가 있다.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 export LD_LIBRARY_PATH
NLS_LANG=American_America.KO16KSC5601; export NLS_LANG
ORA_NLS33=$ORACLE_HOME/ocommon/nls/admin/data; export ORA_NLS33
TNS_ADMIN=$ORACLE_HOME/network/admin; export TN S_ADMIN
ORACLE_OWNER=oracle ; export ORACLE_OWNER

위의 사항을 적용한다.
$ . ./.profile
( .cshrc에 기술했다면 $source .cshrc)


4) cd rom mount : oracle product cd case에 기술되어 있는 대로 mount한다.
SUN : # mount -r -F hsfs /dev/rmt/0 cdrom
DEC : # mount -r /dev/rz4c /cdrom
(cdrom device name을 다를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cd rom mount 후에 disk와 link를 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의 여부도 oracle product cd case에 있는 종이를 참고한다.
다음과 같은 작업이 필요 할수도 있다.
$ mkdir /oracle/olink
$ cd /cdrom/orainst
$./start.sh ( link시킬 directory를 물으면 /oracle/olink를 기술한다.)

5) root user로 oratab.sh 수행
# cd /cdrom/orainst/oratab.sh
위의 정상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환경 변수에 ORACLE_OWNER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6) 이제 실제로 install을 시작한다.
a. installer 수행
$ cd /cdrom/orainst ( 혹은 cd /oracle/olink/orainst )
$ ./orainst
b. install type 설정 : default install과 custom install 중 선택한다.
가능하면 custom install선택한다.
c. Installation activity choice : Install, upgrade, or de-install
sofrware 선택.
() Install, upgrade, or de-install sofrware
() Create/upgrade database objects
() Perform administration tasks

d. Installation options
( s/w와 db create를 동시에 하려면 Install new product -
create db objects 선택 )

() Install new product - create db objects
() Install new product - do not create db objects
() Add/ upgrade software
() Build oracle8 staging area
…… 이하 생략.

e. installation options: mount point
여기서는 2 1)에서 만든 mount point를 넣어 준다
cursor가 있는 box에 /oracle
그러면 installer가 알아서 home location, log directory 등을 잡아준다.

f. install source : cd-rom 선택

g. ORACLE_SID는 .profile에 기술된 것을 default로 물고 온다.

h. NLS : native language 선택 시는 All Language를 선택한다.

i. software asset manager가 뜨면 원하는 s/w를 선택 후 install하면 된다.

j. DBA group, OSOPER group을 default로 dba로 display되며 그대로 OK.

k. Install option 설정 시 db create를 나중에 할 경우는 s/w install이 끝나면
c 단계에서 create/upgrade database objects 를 선택하고 d 단계에선
다른 menu가 뜨면 new database를 선택하면 된다.

l. create db objects : storage type (대부분 Filesystem-based database 선택)

() Filesystem-based database
() Raw device based database

m. create db objects (f/s) : control file distributed
분산하여 만들 것이 아니라면 NO 선택. defulat는 YES에 cursor가 가 있으니
2-1) 단계에 datafile 분산을 위해 만들었다면 YES.

n. create db objects (f/s) : mount point locator

2 -1)에서 만든 /oracle 기술한다. 만일 disk 분산이 가능하다면 이외의
directory를 기술하면 그 아래에 oradata directory를 만들어 controlfile, datafile
등을 만든다.

o. characterset, national characterset 선택 : KO16KSC5601

p. system, sys user의 password를 기술한다.

q. 이외의 사항은 대부분 default로 ok하면된다.


3. Post -Installation

1) root user로 $ORACLE_HOME/orainst 아래의 root.sh 수행한다.
$su - root
#./root.sh
script 진행 중 oracle account의 home directory와 ORACLE_HOME이 다르다는
messgae가 나와도 y를 눌러 실행을 마친다.

2) /etc/services 화일에 listsner port를 지정한다.
Listener 1521/tcp

3) sqlnet v2 관련 file인 listener.ora, tnsnames.ora file을 만든다.
을 참고한다.

4) db 구동 여부와 listener 구동 여부를 test한다.



Reference Ducumment
---------------------
Oracle 8 install guide.
Comment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